깃털 6

깃털갈이, Molt

깃털Feather는 '죽은' 조직입니다. 이 말을 풀이하면, 손상이 되거나 낡게 되더라도 재생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새로운 깃털로 교체를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깃털은 일상 활동에서 뿐 아니라 햇볕,기생충에 의해서도 자연스럽게 손상을 입게 됩니다. 이런 손상은 비행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도 잘 관리를 해야 하지만 너무 낡은 깃털은 새 것으로 교체를 해야 합니다. 한편, 깃털의 색이나 구조가 깨끗하고 건강하면 짝짓기 시절에 이성의 선택을 받기가 용이합니다. 요약하자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새는 정기적으로 깃털갈이Molt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깃털갈이가 정기적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종 마다 개체마다 차이가 있으며, 해마다 다를 수도도 있습니다. 깃털갈..

행동 2024.08.08

깃털을 먹는 논병아리류, 왜 그럴까?

논병아리목의 새들이 자신의 깃털을 먹는 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습니다. 기록으로는 1577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즈텍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가 있습니다. 일부 새들은 수 세기 동안 오해를 받아왔습니다. 뿔논병아리를 예로 들어보면, 1577년에 작성된 아즈텍의 관찰 기록에 근거한 북미 문헌에서 가장 초기의 설명은 "이 새의 먹이는 깃털이며 가끔 물고기를 먹는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Some birds are just misunderstood and have been for centuries. Take the Eared Grebe, for example. The earliest description in the North American literature—dating from 1577 and ba..

행동/식이 2024.07.25

팔색조, 八色鳥

팔색조는 여름철새이지만 보기 어려운 새에 속합니다. 천연기념물이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중국 남동부, 대만, 일본에서 번식하고 보르네오섬에서 월동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남부지역 섬이나 남부 내륙에서 번식하지만 최근 들어공주, 경기 광릉숲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었습니다. 참새목 팔색조과 팔색조속의 새이며 학명은 Pitta nympha입니다. Pitta는 인도어에서 나온 말로 영어 Pet과 같은 어원입니다. nympha는 그리스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요정들 nymph에서 나온 말이니 한마디로 요정처럼 아름다운 새라는 뜻입니다. 영어로도 Fairy Pitta이며 Fairy는 요정이라는 말입니다. 이 새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는 동서양 구분이 없는데 중국에서도 이 새 이름은 仙八色鶇,선팔색동으로..

새와 사람 2024.07.19

깃털의 발생, Development of Feather

깃털은 공룡도 가지고 있었지만 현생 생물만을 놓고 보았을 때 새 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입니다. 깃털은 보온, 방수, 구애, 비행, 포식자로부터 보호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목적 구조물입니다. 깃털에서 나오는 수려한 색깔과 무늬는 오랫동안 사람의 영감을 자극하고 감성을 고양시켜 왔습니다.  특히 탐조인들이 먼 곳 험한 곳 마다하지 않고 새를 찾아다니게 만드는 힘이 이 깃털이 가진 아름다움에서 나온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닙니다.  그러면서도 깃털에 대해  모르는 부분들이 더 많습니다. 새를 동정하는 포인트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깃털에 대한 학문, 깃털학 Plumology란 말이 따로 있을 정도로 배울 것이 많이 있습니다.  깃털이 어떻게 진화를 해 왔는지, 어떻게 그 아름다운 무늬들을 만..

해부 2024.07.05

깃가지 있는 깃털의 발생

앞선 글에서 직관에 반하는 두 가지 요소-원형의 표피관에서 어떻게 편평한 깃이 나오는가 하는 문제와 작은 깃가지-깃가지-깃축 순으로 성장하는 깃털에 대해 이야기를 짧게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두 가지 문제를 미세 관점, 세포학 수준에서부터 시작하여 가지가 있는 깃털의 최종 완성까지 살펴보겠습니다.  이해하기 쉽지 않은 글일 테지만 끈기를 가지고 노력하면 어느 순간에는 머릿속에서 깃털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펼쳐지게 될 것입니다. 기초 이해표피관Epidermal collar은 깃털의 가지 구조를 생성하는 곳입니다. 원통 모양의 표피관 내에서 세포들이 성장하고 융합하는데 이  세포들 기하학적 구조가  중앙 축 Rachis와  측면 깃가지 Barb로 된 전형적인 깃털 모양에 대응이 됩니다. 즉, 표피관 내 케..

해부 2024.07.05

깃털의 진화, Evolution of Feather

오랜 기간동안 깃털은  파충류의 비늘에서 진화해 왔다고 생각해 왔지만, 판상 구조의 비늘과 관 모양의 깃털이란 그 형태상의 변화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1999년에  리처드 프롬 Richard Prum이 깃털 진화에 대한 상세한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는 논문에서 단순한 관 모양에서 시작한 깃털이  현재의 비대칭 깃으로 점점 발전한 것을  상세히 규명했습니다.  "칠판 앞에 서 있다가 문득 깨달았습니다."  프룸 박사가 설명했다........ 프롬 박사는 현재 예일 대학교 조류학과 교수를 맡고 있지만 맨 처음 생각이 떠올랐던 것은 캔사스 대학교에서 강의할 때였다. " 비늘에서 깃털이 진화되었다는 통상적인 이론을 강의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강의가 끝나갈 무렵 그 이론이 말이 안된다는..

해부 202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