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황지우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일제히 일어나 애국가를 경청한다삼천리 화려 강산의을숙도에서 일정한 군(群)을 이루며갈대 숲을 이륙하는 흰 새떼들이자기들끼리 끼룩거리면서자기들끼리 낄낄대면서일렬 이열 삼렬 횡대로 자기들의 세상을이 세상에서 떼어 메고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간다우리도 우리들끼리낄낄대면서깔쭉대면서우리의 대열을 이루며한 세상 떼어 메고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하는데 대한 사람 대한으로길이 보전하세로각각 자기자리에 앉는다 주저 앉는다.

새와 사람 2024.12.04

뿔호반새는 지리산 어디에 있을까?

75년만에 지리산 계곡에서 발견된 뿔호반새는 구체적으로 어디에 있을까?신문 방송에 소식이 알려진 지 며칠되지 않았지만 벌써 많은 사람들이 다녀와서 여기 저기 게시판에 사진을 올리고 있습니다. 올라오는 사진을 보고 있으면 어떻게 알고 갔는지는 짐작되는 바가 있지만 물어볼 처지가 안되고, 지리산 근처 계곡을 전부 다 뒤질 수는 없고 좀 고민하던 차에어제 구글 검색만으로도 뿔호반새가 있는 위치를 알아냈습니다. 아직 가 보지는 않았지만 100% 확신하며 그 방법과 위치를 공개합니다. 1. 기사를 잘 살펴보면, 산청과 함양 두 곳에서 위치에 대한 기사가 올라옵니다. 이것을 유추해보면, 뿔호반새는 함양과 산청 군 경계면을 왔다갔다 하는 겁니다. 네이버나 다음 지도에서 산청, 함양 군 경계를 찾아봅니다.2. 군 경..

새와 사람 2024.12.04

알이 만들어지는 과정

교미 후 정상적으로 알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봅니다.  간단히 말하면 난소에서 배출된 난자가 정자를 만나 배아를 형성하고(수정이 되었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배아는 난관을 통과하면서 껍질을 얻고 자궁에 정착하여 알 낳기를 기다리는 과정입니다. 알은 크게 보아 3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배아가 될 난황, 배아의 영양분이 될 흰자, 그리고 이런 내부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알껍질입니다. 이들은 난관을 통과하면서 질서 정연 하게 조합됩니다. 난관을 통과하는 데는 보통 하루가 걸리지만 일주일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팔관 Infundibulum에 잠시 머무른 난자(20여분)는 분당 2.3밀리미터 속도로 난관을 통과하면서(3-4시간 정도) 흰자를 더하게 됩니다. 알껍질은  협부 Isthmus에서부터 입..

해부 2024.09.03

깃털갈이, Molt

깃털Feather는 '죽은' 조직입니다. 이 말을 풀이하면, 손상이 되거나 낡게 되더라도 재생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새로운 깃털로 교체를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깃털은 일상 활동에서 뿐 아니라 햇볕,기생충에 의해서도 자연스럽게 손상을 입게 됩니다. 이런 손상은 비행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도 잘 관리를 해야 하지만 너무 낡은 깃털은 새 것으로 교체를 해야 합니다. 한편, 깃털의 색이나 구조가 깨끗하고 건강하면 짝짓기 시절에 이성의 선택을 받기가 용이합니다. 요약하자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새는 정기적으로 깃털갈이Molt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깃털갈이가 정기적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종 마다 개체마다 차이가 있으며, 해마다 다를 수도도 있습니다. 깃털갈..

행동 2024.08.08

미운 오리 새끼는 탁란 이야기다.

“그래, 지내기가 어떻소?” 새끼 오리들을 보러 온 할미 오리가 물었다. “알 하나가 이렇게 오래 끄네요. 아직도 금이 갈 기미가 안 보여요. 하지만 다른 새끼들을 좀 보세요. 정말 귀엽지 않아요? 모두 제 아비를 닮았어요. 그런데 애들 아비는 무정하게도 찾아오지도 않는군요.” “그 알을 좀 보여 주구려. 아마 칠면조 알이 틀림없을 거요. 나도 그렇게 속아서 새끼들과 고생한 적이 있지. 칠면조는 물을 무서워하거든. 꽥꽥거리며 소리를 질러 보기도 하고 꼬꼬 우는 소리로 달래 봤지만 소용이 없었소. 그 알 좀 보여주구려. 이건 분명 칠면조 알이야. 이 알은 그냥 내버려 두고 다른 새끼들에게 헤엄치는 법이나 가르쳐 주구려.” 미운 오리새끼, 안데르센 안데르센 동화 미운 오리새끼는 건조하게 말하면, 탁란에 관한..

행동/번식 2024.08.08

새도 꿈을 꾸는가?

수면 단계 중  REM(Rapid Eye Movement) 단계에서 깨우게 되면 꿈을 꾸고 있었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이 REM는 사람뿐 아니라 다른 동물들과 새에게서도 관찰이 됩니다. 그렇다면 새도 꿈을 꾸는 것일까요?  꿈을 꾼다면 어떤 꿈일까요?새에게 물어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임의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만 사람의 수면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 질 수록 새의 꿈을 더 많이 추론할 수는 있습니다. 단순한 뇌파 검사를 넘어서 수면 시에 뇌의 각 부분에 대한 영상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새들에게도 이것을 적용하여 연구를 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수컷 금화조, Zebra Pinch의 수면 연구에서, 노래를 담당하는 뇌 부분에서 자발적인 뇌파 반응이 나오는 것을 확인했..

행동 2024.08.07

논병아리야, 물 밖은 위험해.

용이 얕은 물에서 놀면 새우에게 희롱을 당하고 호랑이가 벌판에 내몰리면 동네 강아지에게도 업신여김을 당하는 법 서유기, 오승은 논병아리목은 관찰하는 재미가 있는 새입니다. 번식기 뿔논병아리의 화려한 짝짓기 의식은 널리 알려져있고, 새끼를 등에 태우고 다니는 행동이나 새끼에게 깃털을 먹이거나 자신이 깃털을 먹는 행동은 관찰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물 위에 나뭇가지를 엮어서 둥지를 만드는 것도 다른 새들에게서 보기 어려운 행동입니다. 조용히 헤엄치다가 순식간에 물 속으로 잠수해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지켜보는 것도 하나의 재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관찰되는 논병아리과 새는, 논병아리, 큰논병아리, 뿔논병아리, 귀뿔논병아리, 검은목 논병아리 등 5종입니다. 과명은 Podicipedidae로 이는..

행동 2024.08.06

깃털의 종류

쓰임새에 따라 깃털은 몇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비행에 사용된은 비행깃, 보온과 단열에 사용되는 Down 등이 그것인데 이에 대해 깊게 알아 봅니다. Contour FeatherFlight FeatherDownBristleFiloplumePowderdown Contour Feather는 새의 몸 바깥쪽 대부분을 덮고 있는 깃털로 윤곽깃이라고 하며 깃털의 바깥 부분은 매끄럽고 겹쳐져 있어 바람과 물에 잘 견디며, 피부에 가까울수록 부드럽고 푹신하여 공기를 가두어 피부가 따뜻해질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복잡한 위장이나 화려한 무지개 빛깔의 색조 그리고 장식을 위한 특이한 모양으로 변형시키기도 합니다. 비행깃Flight Feather는 날개깃인 Remiges와 꼬리깃인 Rectrice로 나눌 수 ..

해부 2024.07.26

깃털을 먹는 논병아리류, 왜 그럴까?

논병아리목의 새들이 자신의 깃털을 먹는 것은 아주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습니다. 기록으로는 1577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아즈텍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가 있습니다. 일부 새들은 수 세기 동안 오해를 받아왔습니다. 뿔논병아리를 예로 들어보면, 1577년에 작성된 아즈텍의 관찰 기록에 근거한 북미 문헌에서 가장 초기의 설명은 "이 새의 먹이는 깃털이며 가끔 물고기를 먹는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Some birds are just misunderstood and have been for centuries. Take the Eared Grebe, for example. The earliest description in the North American literature—dating from 1577 and ba..

행동/식이 2024.07.25

저어새, Remote Touch

저어새 먹이 활동 야외에서 저어새의 먹이 활동을 보노라면 '왜 저렇게 무모하지?' '저렇게 흙탕물을 휘젓고 다니면 먹이가 잡히나?' '먹이를 잡는 게 아니라 쫓아내는 것 아냐?' '저러다 한 마리도 못 잡겠어' '저러면 굶어 죽는 것 아냐' 하는 인상을 지닐 수밖에 없습니다. 내키는 대로 무질서하게 걷는 걸음걸이에다 의미 없어 보이는 좌우로 휘젓는 부리를 보면 말입니다. 저러니 멸종위기에 빠지지 하는 탄식마저 나옵니다. 실제 이 말을 필드에서 가끔 듣기도 합니다. 정말 저어새 먹이 활동이 형편없는 수준인지 국내외 두 논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2017년 4월 6일부터 5월 26일까지 총 651분간 51개체의 섭식행동을 촬영하였다. 6월 이후의 조사에서는 저어새의 섭식행동이 관찰되었으나 벼가 많이 자라 ..

논문 2024.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