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놀라운 생물공학적 특징으로, 폐와 연결된 일련의 풍선 같은 기낭氣囊 덕분에 가능하다. 들숨을 쉴 때 기낭에 저장된 약간의 ‘산소가 풍부한 공기’가, 날숨을 쉬는 동안에 폐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독자들이여! 이해되지 않는다고, 괜히 자신의 우둔함을 탓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너무나 신기한 폐여서, 생물학자들조차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데 수십 년이 걸렸다. 완전히 새로운 공룡의 역사, 3. 혁명의 시작, 스티브 브루사테 지음, 양병찬 옮김, 웅진 지식하우스 새의 호흡기 구조는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의 것과는 구조도 기능도 상이합니다. 포유류의 폐는 횡격막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적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반면, 새의 폐는 작고 딱딱한 구조로 신축성 없이 흉곽 내 갈비뼈 사이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